분류 전체보기
-
지하구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5)화재안전성능기준 2023. 4. 5. 16:00
소방에서 정의하는 지하구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류 시행령 별표 2에 따르며 그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별표2 중 28. 지하구 가. 전력,통신용의 전선이나 가스,냉난방용의 배관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집합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하 인공구조물로서 사람이 점검 또는 보수를 하기 위하여 출입이 가능한 것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1) 전력 또는 통신사업용 지하 인공구조물로서 전력구(케이블 접속부가 없는 경우는 제외한다) 또는 통신구 방식으로 설치된 것 2) 1)외의 지하 인공구조물로서 폭이 1.8m 이상이고 높이가 2m 이상이며 길이가 50m 이상인 것 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호에 따른 공동구 또한, 지하구에 설치,관리해야 하는 소방시설은 다음과 같습..
-
2023 서울 모빌리티쇼 이야기소방 외 이야기 2023. 4. 4. 17:30
소방에 관한 이야기만 해보려다가 역량 부족과 소재의 한계를 느껴 다른 이야기도 해보려고 합니다. 지난주 금요일(3월 31일)에 일산 킨텍스 서울 모빌리티쇼에 다녀왔습니다. 4월 9일(일)까지 행사를 진행중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다녀오는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사전 예약하신 분들은 입장료 12,000원, 현재 온라인 예약이나 현장 발권은 15,000원 입니다. 전문적인 글은 아니고 차에 대해 잘 모릅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봐주셨으면 합니다. EV9 입니다. 역시 매우 핫한 제네시스X컨버터블 입니다. 사람들의 엄청난 관심을 받았습니다. 사람이 워낙 몰려서 사진 찍기가 힘들 정도였습니다. 컨셉인지 상용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G90이 옵션 포함하면 1억이 넘어가는데 상용으로 나오면 과연 얼마나 할지 ..
-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기준 (NFPC 604)화재안전성능기준 2023. 4. 3. 16:00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기준 (NFPC 604) [시행 2022. 12. 1.] [소방청고시 제2022-65호, 2022. 11. 25., 전부개정] 소방청(소방분석제도과), 044-205-7531, 7532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항제6호가목에 따라 소방청장에게 위임한 사항 중 고층건축물에 설치해야 하는 소방시설 등의 성능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11조제1항에 따라 「건축법」 제2조제1항제19호에 따른 고층건축물과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14조제2항에 따른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해야 하..
-
무창층에 관한 이야기소방 이야기 2023. 3. 29. 16:00
무창층은 지상층 중 일정 요건을 갖춘 개구부(건축물의 채광, 환기, 통풍 또는 출입 등을 위해 만든 창, 출입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의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의 바닥면적의 1/30이하가 되는 층을 말합니다.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렵고 화재 확산 시 질식의 위험이 큽니다. 따라서, 우리 소방에서는 무창층에 관해 특별히 다루고 있습니다. 소방 법령 및 행정규칙에 나와 있는 무창층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법에서 다루는 무창층 관련 항목입니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정의) 이 영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무창층”(無窓層)이란 지상층 중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건축물에서 채광ㆍ환기ㆍ통풍 또는 출입 등을 위하여 만든 창ㆍ출입구, 그 밖에..
-
도로터널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3)화재안전성능기준 2023. 3. 28. 16:00
도로터널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3) [시행 2022. 12. 1.] [소방청고시 제2022-64호, 2022. 11. 25., 전부개정] 소방청(소방분석제도과), 044-205-7531, 7532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항제6호가목에 따라 소방청장에게 위임한 사항 중 도로터널에 설치해야 하는 소방시설 등의 성능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11조제1항에 따라 도로터널에 설치해야 하는 소방시설 등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해 적용한다. 제3조(정의) ①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도로터널"이란 「도로..
-
피트공간(EPS, TPS, PS실 등) 소방시설 적용에 관한 이야기소방 이야기 2023. 3. 27. 16:00
현장에서 소방공사를 진행하다 보면 소방시설을 적용해야 할지 안해도 되는지 애매한 공간들이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공간이 EPS, TPS, PS실 같은 피트공간입니다. 다들 잘 알고 계시는 '피트공간 등 소방시설 설치 기준 적용 변경 지침' 입니다. 2020년 국가화재안전기준 해설서에도 등재 되었었습니다. 많이들 참고하여 활용 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2022년 소방시설법령 질의회신집에는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답변에 따르면 화재안전기준에 예외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모두 설치해야 한다고 합니다. 답변에서 인용한 '소방시설 관련 업무처리 지침 알림(소민센1)' 에 대해 찾아 보았습니다. http://www.safeland.go.kr/safeland/ 소방시설민원센터 소..
-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2)화재안전성능기준 2023. 3. 24. 16:00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2) [시행 2022. 12. 1.] [소방청고시 제2022-63호, 2022. 11. 25., 전부개정] 소방청(소방분석제도과), 044-205-7532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항제6호가목에 따라 소방청장에게 위임한 사항 중 소방시설의 비상전원인 비상전원수전설비의 성능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별표 4의 소방시설에 설치해야 하는 비상전원수전설비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해 적용한다. 제3조(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과전류차단기"란 「전기설..
-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소방 이야기 2023. 3. 23. 16:00
22년 12월 1일부터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제도가 강화되었습니다.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는 이번에 새로 적용되었는데, 적용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의 경우 등급은 특,1,2,3급 모두 가능합니다.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의 주요 업무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건설현장 대상물과 벌칙 및 과태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과 같은 선임요건을 갖추고 등급에 맞는 소방안전관리자 교육을 이수 받아야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이 가능합니다. 소방안전관리자 교육은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https://www.kfsi.or.kr/user/training/TrainingApplyList.do?dept1Menu=1&dept2Menu=2&_menuNo=407# 한국소방안전원(구. 한국소방안전협회) 한..